• 2023. 4. 10.

    by. catting

    국내 개인형 이동장치로 대표적인 전동킥보드의 규모가 2017년부터 꾸준히 증가하면서 5년 사이에 전동 킥보드 사고가 15배나 증가하였다고 합니다.

     

    이에 도로교통법이 대폭 계정되었는데요.

     

    전동킥보드 음주 면허 벌금 안전 수칙 총정리 하였습니다. 확인하시고 안전하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전동킥보드 면허 벌금 안천수칙총정리

    -목차-
    전동킥보드 면허
    전동킥보드 안전 수칙
    전동킥보드 음주 운전 처벌
    전동킥보드 면허 취소 

    전동킥보드 면허 

    전동킥보드가 생긴 초반에는 면허가 필수가 아니었지만 최근 각종 사고로 이슈가 되면서 킥보드 면허가 새롭게 계정 되었습니다.

     

    이제는 전동킥보드는 원동기장치 자전거 면허 또는 그 이상의 자동차 면허가 있어야 이용이 가능합니다.

     

    원동기장치 자전거 면허는 16세 이상이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16세 미만은 전동킥보드 운전이 전면 금지 됩니다.

     

    원동기장치 자전거 면허 비용과 취득방법

    무면허로 킥보드를 이용하게 되면 범칙금 10만 원이 부과됩니다.

     

    전동 킥보드 안전 수칙

    전동 킥보드를 운행할 때는 반드시 안전모를 착용하여야 하며 동승자도 안전모를 착용하여야 합니다.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은 운전자에게는 2만 원의 범칙금이 부과되고 동승자가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 운전자에게 2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범칙금과 과태료의 차이점

     

    2021년 5월 13일 시행된 도로교통법상 전동 킥보드를 운행할 때도 면허증을 소지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16세 이상만 전동킥보드를 운행할 수 있으며 어린이에게 전동 킥보드를 운행하게 한 보호자에게는 1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야간 운전 시 전조등이나 야광띠 등의 발광장치를 꼭 착용하여 근처에 통행하는 상대방이 충분히 인지가능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발광장치를 하지 않은 운전자에게 1만 원의 범칙금이 부과됩니다.

     

    전동 킥보드의 승차인원은 1명으로 정해져 있으며 인원 초과탑승 시 운전자에게 범칙금 4만 원이 부과됩니다. 

     

    전동 킥보드는 기본적으로 자전거 도로로 통행하여야 하며 자전거 도로가 없다면 도로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통행을 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전동 킥보드 벌금 범칙금 및 과태료 총정리

    인도와 차도가 구분된 도로라면 반드시 차도로 다녀야 합니다. 도로 파손등의 사유가 있을 때만 예외적으로 인도가 가능하며

     

    인도 통행 시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이를 어길 시 범칙금이 부과됩니다.

     

    킥보드 음주 킥보드 음주운전 면허 

     

     

    전동 킥보드 음주 운전 처벌

     음주 후 전동킥보드를 타면 범칙금 10만 원이 부과되며 음주 측정 거부 시 범칙금 13만 원이 부과됩니다.

     

    그러나 범칙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더 큰 불이익이 있습니다.

     

    운전면허 벌점조회 및 소멸 방법

     

    전동 킥보드 면허 취소

    전동 킥보드를 음주 운전하면 자동차의 음주운전과 같이 취급됩니다.

     

    혈중 알코올농도 0.08%를 초과할 시 전동 킥보드를 운행했다고 1년의 면허 취소가 될 수 있으며 두 번 이상 하셨다면 재범 방지를 위하여 2년의 면허 취소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음주를 하였다면 짧은 거리의 전동 킥보드 운행도 삼가여야 합니다.

     

    킥보드 음주 전동킥보드 음주 운전 구제 방법